회사소개
소개
안전 NEWS
무료 자가진단
회원가입
로그인
안전 NEWS
2024년 2분기 산업재해 현황 부가통계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 잠정결과 발표
대분류
고용노동부
|
등록일
2024-08-28
원문링크
https://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16999
’24년 2분기(누적) 재해조사 대상 사고사망자는 296명(266건)으로전년동기 289명(284건) 대비 7명(2.4%) 증가, 18건(6.3%) 감소
(업종별) 사망자 수 기준 건설업은 감소, 제조업·기타업종은 증가 ▲건설업 130명(128건)으로 전년동기 대비 17명(11.6%), 17건(11.7%) 감소, ▲제조업 95명(69건)으로 14명(17.3%) 증가, 11건(13.8%) 감소 ▲기타 71명(69건)으로 10명(16.4%), 10건(16.9%) 증가
(규모별) 50인(억) 미만은 감소, 50인(억) 이상은 증가▲50인(억) 미만은 155명(152건)으로 전년동기 대비 24명(13.4%), 23건(13.1%) 감소▲50인(억) 이상은 141명(114건)으로 31명(28.2%), 5건(4.6%) 증가
(유형별) 떨어짐, 부딪힘, 깔림·뒤집힘, 무너짐은 전년동기 대비 감소, 끼임, 물체에 맞음은 전년 대비 증가
’24년 2분기, 전년동기 대비 사고건수는 감소하였으나, 대형사고의 영향(화성 화재사고 23명 사망)으로 사고사망자 수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경기영향 등으로 건설업에서는 사고사망자 수가 감소하였으나, 제조업50인 이상 중심으로 사고사망자 수 증가하며 전체 사망자수 견인
- 50인 이상 제조업의 경우 경기 회복에 따른 일부 업종 호황과 화성 화재사고 발생으로 인해 사고사망자 증가
정부는 유사 화재·폭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중앙사고수습본부를 통해 발표(8.13.)한 「외국인 근로자 및 소규모 사업장 안전 강화 대책」을 차질 없이 이행해 나갈 계획임
또한, 시기·경기적 요인 등을 살펴, 사고 다발 업종에 대해 유해·위험요인 집중 점검, 업종별 간담회 등 정책 수단을 총 동원하여 철저히 관리하겠음
문 의: 중대산업재해감독과 정치환(044-202-8952), 이동민(044-202-8959), 신상호(044-202-8957)
첨부파일
8.28 울산 공공기관과 함께 중소기업에 ESG경영 컨설팅 제공(근로복지공단).hwpx
8.28 울산 공공기관과 함께 중소기업에 ESG경영 컨설팅 제공(근로복지공단).pdf
다음글
자영업자 고용보험 가입과 동시에 보험료 지원도 받으세요
이전글
2024년 7월 사업체노동력조사 및 2024년 4월 지역별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고객문의
카카오톡 상담
TOP